전체 글

개발 유튜브 쉬운코드 운영 철학
거창하게 철학이라고 했는데 거창한 것이 맞다 ㅎㅎ 결국 그것이 그 채널의 정체성이 되기 때문에 운영 철학을 정의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쉬운코드 채널의 운영 철학은 아래와 같다 배워서 남 준다 수년간 개발자로 살면서 나도 전 세계 어딘가에 살고 있는 이름 모를 누군가가 정리해서 올려놓은 글이나 영상을 보면서 지식을 습득하고 성장했다 나 또한 그렇게 하길 원한다 컴공 지식, 개발 지식뿐만 아니라 개발 외적인 부분까지도 가령 면접 팁, 슬기로운 회사생활 등등 도움 될만한 여러 가지 얘기들을 공유한다 쉽게 설명한다 컴공 지식, 개발 지식은 어렵다 어려운 내용에 좌절해서 포기하는 분들이 생기지 않도록 최대한 쉽게 설명한다 보시는 분들이 조금이라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모든 방면에서 모든 노력을 다한..

기술 면접에서 모르는 질문을 만났을 때
(👉 컴공 맛집 백엔드 전문 채널 쉬운코드 유튭 구경 가기) 기술 면접에서 모르는 질문을 만났을 때 일단, 모르는 걸 아는 척 하면서 대답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어차피 면접관 분이 추가로 질문 몇 번 더하면 이 분이 진짜 제대로 알고 있는지 모르고 있는지 금방 파악할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모르는 것을 아는 척 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구요, 하지만 아는 만큼 대답하는 것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자바에서 GC를 아냐고 물어봤을 때 잘은 모르고 조금만 알고 있다면 그때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이렇게 대답하기 보다는 '제가 깊게는 잘 모르지만 아는 만큼 대답해보겠습니다' 이러면서 알고 있는 부분을 설명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생각해볼 여지가 있는 질문을 받았을 때 그리고 생각해볼 여지..
트랜잭션 ACID 속성 간단히 정리
Atomicity All or Nothing. 트랜잭션의 내부에 있는 모든 operation들이 성공하거나 혹은 아무런 일도 없었던 것처럼 모두 취소돼야 한다는 의미. 어중간하게 일부만 성공해서 DB가 이상한 상태가 되면 안된다는 의미. Consistency 트랜잭션이 실행 후에도 DB 상태가 consistent 해야 한다는 의미. 가령 constraints나 trigger를 사용해서 DB에 어떤 rule을 적용했다면 그 rule을 깨뜨리는 트랜잭션은 DB에 적용되면 안된다는 의미. Isolation 여러 트랜잭션들이 동시에 실행돼도 마치 각각이 혼자 실행되는 것처럼 동작해야한다는 의미. Durability 한번 commit된 트랜잭션 결과는 DB에서 결코 롤백되지도, 사라지지도 않는다는 의미. 심지어 ..
개발 유튜버를 하면서 느낀 점 - 2편
항상 유혹이 있다 내가 올린 영상을 많은 사람들이 봐줬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있다. 그래서 사람들의 이목을 더 많이 끌 수 있는 제목을 고민하게 되는데 그러다 보면 문제가 하나 생긴다. 좀 더 부풀려서 혹은 지나치게 단언적인 표현으로 제목을 뽑고 싶어진다는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이런 제목은 거짓되거나 왜곡된 표현임에도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반지처럼) 조회수가 나를 유혹한다. 이게 아주 사소해 보일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조금씩 타협하기 시작하면, 나도 모르게 어느 순간 본질을 놓치게 될지도 모른다. ('그게 꼭 안좋은 거냐'라고 물어본다면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겠지만, 적어도 나는 좋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MSG 치지 말고, 있는 그대로를 정확히 전달하자' '본질을 잃지 않으면 조회수는 ..
개발 유튜버를 하면서 느낀 점 - 1편
컴공 내용으로 시작하길 잘했다! 일단 나 스스로도 내공이 더 깊어졌다. 구름 낀 듯 알고 있던 내용들이나, 퍼즐 조각처럼 퍼져있던 부분들도 콘텐츠를 준비하면서 쫙 정리가 되고 있다. 아무래도 개발 경력이 만 7년쯤 됐을 때 본격적으로 개발 유튜버를 시작했기 때문에 컴공 지식이 실무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혹은 실무의 관점에서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도 같이정리할 수 있어서 매우 유익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물론 콘텐츠를 준비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긴 하지만 그만큼 개발에 필요한 기본기와 내공을 더 깊게 쌓고 있고 그래서 내재화된 지식으로 충분히 보상받고 있기 때문에 기분이 좋고 감사하다. 책임감을 느낀다 영상으로 찍어서 올린다는 것은 나혼자 정리해서 알고 있거나, 소수의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그런 종..